IT

[DB정리] '관계 데이터 모델'

BronxBomber 2021. 9. 23. 01:21
728x90

오늘은 데이터베이스의 '관계 데이터 모델'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.

Data Model

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형식이 어떻게 되어있나를 의미합니다.

관계 데이터 모델의 특성

  • 수학에서의 릴레이션과 집합 이론에 기초합니다.

  • 관계 데이터 모델의 핵심은 비절차적 질의가 가능한 점 입니다.

  • 데이터 모델에서 열, 혹은 그 안의 속해있는 하나하나의 아이템들을 애트리뷰트 라 합니다.

  • 데이터 모델, 즉 테이블의 행(가로줄)을 레코드(at programming) or 튜플(at database) 이라고 합니다.

  • 릴레이션을 보면 여러개의 튜플들이 집합을 구성하고 있는데 집합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. 따라서 이는 테이블릴레이션의 가장 큰 차이점 입니다.

    1. 중복이 허용되지 않는다.
    2. 순서가 없다.

애트리뷰트(Attribute)와 도메인(Domain)

  • 테이블을 릴레이션과 매우 유사하지만 같은 것은 아니다.
  • 애트리뷰트(==테이블 속 값) 값들의 집합을 도메인 이라고 한다.
  • 한 릴레이션 내에서 애트리뷰트 이름들은 모두 달라야 한다.
  • 단순도메인이란? 단순 애트리뷰트(원자값, 더 이상 쪼갤수 없는 값)
  • 복합도메인이란? 복합 애튜리뷰트(복합값, 계속 쪼갤 수 있는 값)
  • 단순도메인과 복합도메인으로 나누는 기준은 사용자의 질의에 따라 원자 값인지, 복합 값인지 결정됩니다.
  • 애트리뷰트 이름과 도메인 이름은 같을 수가 있는데 이를 통해 역할 이름을 도메인 이름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.

Relation

어떤 데이터를 DB에 저장하고자 할 때 DB에는 틀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을 스키마(Schema) 라고 부릅니다. 스키마는 구성과 정의를 하는 것을 부르며 릴레이션에서는 이를 위한 정의가 필요하므로 그것을 릴레이션 스키마 라고 부릅니다. 이 때 릴레이션 스키마는 순수 데이터가 아닌, 데이터를 정리하기 위한 데이터 이므로 이를 메타데이터(metadata) 라 합니다. 또한 데이터에서 튜플들은 인스턴스 라 정의됩니다. 따라서 이는 한 릴레이션 속의 튜플들을 의미합니다.

릴레이션 = 스키마 + 인스턴스

Relation Schema

릴레이션 이름 + 애트리뷰트 이름

성질로는 정적인 성질을 갖고 있는데, 시간에 무관하여 시간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.

Relation Instance

  • 시간에 따라 변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릴레이션 외연(extension)이라고 불립니다.
  • 따라서 동적인 성질(삽입, 삭제, 갱신으로 시간에 따라 변함)을 갖고 있습니다.
  • 어떤 한 순간의 값을 포착한 것을 Snapshot이라고 부릅니다.
  • 어떠한 릴레이션 R이 있다고 할 경우, R이 포함하고 있는 튜플들의 집합을 릴레이션 R의 인스턴스 라고 부릅니다.

트랜잭션 이란?

데이터베이스의 기본연산 단위, 원자적으로 수행됨. Begin으로 범위가 시작되며, Commit로 범위가 끝남. 그 사이는 동적인 성질의 값들로 채워져 있음.
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DB] 관계 데이터 베이스  (0) 2021.09.23